글로벌 IT 리서치 기관인 가트너는 2019년 보고서에서 "방화벽 관련 사고의 99%는 방화벽 자체의 결함이 아닌 구성 오류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Through 2023, 99% of firewall breaches will be caused by firewall misconfigurations,
not firewall flaws
Gartner, 2019
2024년 현재에도 동일한 문제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복잡하고 때로는 취약한 현대의 사이버 보안 환경에서는 이러한 방화벽 설정 오류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방화벽 구성 오류를 간과하면 안 되는 이유는, 이러한 오류가 공격자에게 의도치 않은 접근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공격자들은 자동화 도구를 활용해 인터넷을 끊임없이 스캔하며 방화벽 구성의 허점을 찾습니다. 그들은 과도한 허용 정책을 감지하고 이를 악용해 취약점을 공격합니다. 이러한 과다 허용 정책은 주로 비즈니스 요구로 방화벽 정책이 느슨해지거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배포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위해 방화벽 제한을 일시적으로 해제한 후 이를 복원하지 않는 경우, 표면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일지라도 실제로는 악의적 행위자가 이를 악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는 셈입니다.
오늘은 과다 허용 정책을 초래하는 네 가지 주요 방화벽 구성 오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의 시스템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이 존재하지 않는지 점검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 네 가지 주요 방화벽 설정 오류
1. 하드웨어 폐기 관리 미흡
관리자가 특정 마케팅 서버에 대해 방화벽 접근 정책을 생성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후 해당 서버가 폐기되었지만 관련 방화벽 접근 정책을 제거하지 않았다면, 이 정책은 "정체(Stagnant)"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정체된 정책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폐기된 서버의 IP가 재활용되어 새로운 장비가 배포되면, 정체된 정책이 활성화되면서 의도치 않은 네트워크 접근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 위드네트웍스의 이기종 방화벽 정책 관리 솔루션 withFLOW은 정책 사용률 분석을 통해 미사용 정책을 필터링합니다. 방화벽과 정책의 사용률(Hit Ratio)을 조회하고 분석하여 특정 기간 동안 미사용된 정책을 추출하고 리포팅합니다. 이를 통해 미사용 정책을 제거해 방화벽 정책 운영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기간 동안 미사용된 정책을 검색하거나 장기 미사용 정책 목록을 확인함으로써 정책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2. 중복 정책
중복 정책은 말 그대로 기존 논리적 접근 경로가 동일한 정책입니다. 중복 정책 자체는 즉각적인 위협을 야기하지는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중복 정책이 누적되면 보안 정책의 복잡성을 불필요하게 증가시켜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 큰 어려움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 withFLOW는 방화벽 정책 설계 단계에서부터 정책의 유효성 및 중복/유사 정책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복 정책 자체를 원천 차단할 수 있습니다.
3. 섀도우 (Shadowed) 정책
섀도우 정책은 중복 규칙과 유사하지만, 상반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하나의 정책이 특정 IP 접근을 허용하는 반면, 다른 정책이 이를 차단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섀도우 정책은 관리자가 보안 정책을 검토할 때 상충되는 정책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차단 정책만 확인하고 상위의 허용 정책을 간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withFLOW는 과다 허용 정책을 세밀히 분석합니다. 상위에 과다 허용 정책이 있는 경우 이를 Shadowed 정책으로, 하위에 있는 경우 Redundant 정책으로 분류합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모든 과다 허용 정책을 빠짐없이 점검할 수 있어 방화벽 정책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너무 많은 정책
일반적인 기업에서는 방화벽 정책의 30~40%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현대 기업들은 약 1만에서 10만 줄의 방화벽 정책을 운영하고 있으며, 방화벽 수가 많아질수록 정책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정책을 관리하기 어렵게 만들고, 사용되지 않는 정책, 중복 정책, 섀도우 정책, 과다 허용 정책 등이 누적되면서 시스템 복잡성을 가중시켜 관리 포인트를 증가시킵니다. 그 결과, 공격 표면이 확대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 withFLOW는 전체 정책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를 제공합니다. 고객사 요구에 따라 대시보드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각 방화벽 정책별 상세 분석 기능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정책 변경 이력, 중복 여부, 과다 허용 정책 등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미사용, 중복, 과다 허용, 만료 정책에 대해 자동화된 정책 정비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보안 팀의 인력 부족 및 수작업으로 인한 방화벽 구성 오류
최근 몇 년간 조직 내에서 중앙 집중형 보안 관리가 사라지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온프레미스 방화벽만 관리하면 되었지만, 이제는 클라우드 방화벽, 분산 방화벽 등 다양한 형태의 방화벽이 도입되면서 전체 시스템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또한 여러 제조사의 방화벽을 사용하는 경우, 통합된 정책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어려운 상황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화벽 정책의 양이 점차 증가하고, 미사용 정책, 중복 정책, 과다 허용 정책 등도 함께 늘어납니다. 이러한 정책 증가로 인해 수작업 과정에서 휴먼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방화벽 구성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자동화된 보안 정책 관리로 해결
방화벽 구성 오류 문제를 해결하려면, 방화벽 정책 통합 관리 솔루션을 활용해 제조사와 온프레미스/클라우드 환경에 관계없이 모든 방화벽 정책 변경 사항을 식별하고 라벨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화벽 정책에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해당 변경이 전체 보안 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기종 방화벽 정책 관리 솔루션은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과거 규칙과 비교하여 기록을 생성하며, 정책 맥락에서 평가를 진행합니다.
👉 withFLOW는 전체 정책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를 제공합니다. 고객사 요구에 따라 대시보드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각 방화벽 정책별 상세 분석 기능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정책 변경 이력, 중복 여부, 과다 허용 정책 등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미사용, 중복, 과다 허용, 만료 정책에 대해 자동화된 정책 정비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기종 방화벽 정책 통합 관리 솔루션, withFLOW
위드네트웍스의 이기종 방화벽 정책 통합 관리 솔루션인 withFLOW는 다양한 방화벽 정책을 통합 관리하며, 실시간으로 정책 변경 사항을 분석하고 오류를 사전에 감지하여 보안 정책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도록 지원합니다. 복잡한 환경에서도 자동화된 가시성과 분석을 통해 설정 오류를 방지하며, 기업의 보안 태세를 강화합니다.
러분의 기업과 조직은 방화벽 정책을 어떻게 관리하고 계신가요?
withFLOW와 함께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해 보세요.
Total ICT·지능형 보안 서비스 전문 플랫폼 혁신기업, 위드네트웍스
위드네트웍스는 지난 10여년 간 매지니드 보안 시장의 선도 주자로서 축적된 노하우와 인프라를 기반으로 Global New Technology 기반의보안 솔루션을 개발할 뿐 아니라 클라우드, 5G, 와이파이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를 구축하여 4차 산업 혁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보안 전문 기술/컨설팅 노하우 및 지능형 보안 플랫폼을 통하여 고객사 환경에 최적화된 정보 보안 및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러분 기업에 최적화된 지능형 아이덴티티 보안 체계를 하고자 하시거나 이에 대한 문의 사항이 있으시다면 아래의 제품 문의를 통해 자유롭게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위드네트웍스는 여러분의 비즈니스를 응원합니다!
<참고 내용: "Four Common Firewall Misconfigurations That Give Access To Bad Actors, Firemon, 2024.06>
'보안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브라우저와 보안: 안전한 웹 기반 업무 환경 만들기 (feat. FortiSASE) - 위드네트웍스 (0) | 2024.12.05 |
---|---|
SOC(보안 운영 센터) 운영을 방해하는 7가지 요소 - 위드네트웍스 (3) | 2024.07.24 |
SASE vs. 제로 트러스트: 6가지 유사점과 차이점 (0) | 2024.06.25 |
SASE: 클라우드 제공 네트워크 보안의 미래 (feat. FortiSASE) - 위드네트웍스 (0) | 2024.06.21 |
C&C(Command&Control; 커맨드 컨트롤) 공격이란? - 위드네트웍스 (0)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