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 Insight

[잍씽킹] 유·무선 통신의 미래 - 19년 경력의 IT 전문가 ALEX의 '잍(IT)' 생각! [위드네트웍스]

 

이번 장에서는 유.무선 통신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이라고 하면 회사에서는 전용선, 가정집에서는 모뎀을 통한 ADSL 통신을 이야기 합니다. 회사의 경우 메트로 스위치에서 방화벽, 스위치, 서버나 PC로 연결이 됩니다. 가정집의 경우 ADSL모뎀에 유.무선 공유기에 PC나 스마트폰등이 일반적인 형태가 됩니다.  

 

ADSL 통신

더보기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비대칭디지털가입자전송장치)

광대역 가입자망 구성방법의 하나로써, 기존 전화선로를 그대로 활용하여 가입자 선로를 고속화하려는 방식(xDSL)으로, 기존의 동선선로로 8Mbps 정도 신호전송이 가능 가능하다

 

출처: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지금까지 인터넷의 경우, 각각의 통신사 국사에서 단말인 회사 전산실이나 가정집까지 유선으로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으며, 단말의 스위치와 모뎀을 통해서 유.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습니다. 즉, 유선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말에서 AP(Access Point)나 Wifi를 통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무선 통신이 5G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대 20Gbps를 제공하는 5G의 도래로 유.무선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 통신 시장은 유선 인프라에 무선 단말 시장과 기지국 및 중계소를 통한 무선 스마트폰 시장으로 구분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5G와 WiFi 6의 등장으로 유선 인프라와 기지국을 중심으로 하는 무선 인프라가 이제는 하나의 거대한 무선 AP처럼 통합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Wifi 6

더보기

Wi-Fi 6 (이전에는 IEEE 802.11ax라고 표기함; 이하 802.11ax)

 

다중 접속 환경에 최적화되어 공공 와이파이 환경에서도 최상의 인터넷 품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IEEE에서 고안한 Wi-Fi  규격이다.

 

출처: 나무위키

 

유·무선 인프라의 변화

 유.무선 인프라 변화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우리는 집이나 회사와 같은 End단의 유선 인프라는 무선 인프라로 변화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비용적 측면

 첫 번째 유선 인프라의 노후 및 교체 비용으로 인해서 무선 인프라 시장으로의 변화는 빨라질 것입니다. 케이블 설치 후 20년 ~ 30년 주기를 고려할 때 공사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케이블 처리 비용을 무선 인프라 구축으로 대체가 가능 할 것입니다. 일례로 태국의 경우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불어 인터넷 환경이 유선 ADSL을 거치지 않고 바로 무선 인프라로 인터넷이 제공되었습니다.  한국의 경우는 가정집마다 ADSL 모뎀이 설치되어 있는것과 비교가 되는 사항입니다. 위에서 예를 든 태국 외에도 동남 아시아의 유선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의 경우 ADSL을 건너뛰고 바로 무선 서비스로 인터넷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데이터 대용량 서비스

 두 번째는 통신사와 기지국간 유선 인프라를 통한 대용량 서비스입니다. 유선 인프라의 경우 집이나 가정에서는 점차 퇴출이 되는 대신 무선 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신사와 기지국간에 대용량의 유선 케이블이 설치될 것입니다. 4차 산업 혁명의 핵심은 다양한 Data를 가공해서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입니다. IoT Device나 모바일로 전송되는 Data의 경우 상당히 많은 양이 전송이 되며, 5G의 한계인 20Gbps를 넘어가기 때문에 Core구간에는 유선을 통한 Data 전송이 필요합니다.

 

3. 무선 디바이스 증가

 세 번째는 무선 디바이스의 증가입니다. 현재 우리는 일상에 대부분을 유선이 아닌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자의 가정에는 무선 공유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사에는 무선 Wifi가 설치되어 운영 중입니다.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팜등의 센서는 무선을 통한 초연결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선 디바이스의 증가는 무선 인프라의 확장을 가져오며, 유선에 불필요성을 앞당길 것입니다. 

 

 


 

 

 

무선 인프라로의 변화가 늦어지는 요인

위에서는 무선 시장의 당위성과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무선 인프라의 변화가 늦어지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비용적 측면

  첫 번째는 무선 데이터에 대한 비용입니다. 현재 무선 요금 체계는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입니다. 유선의 경우 정액제로 제공이 되는데, 무선 인프라로 가기 위해서는 요금 체계에 대한 변경이 있어야 합니다.

 

2. 서비스 가용성

 두 번째는 서비스 가용성에 대한 문제입니다. 무선의 경우 외부 전파 간섭이나 환경에 따라 수신도에 차이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지국의 사용자 수용 한계입니다. 주파수라는 한계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지국당 접속되는 사용자에 제한이 발생합니다.  무선에 대한 서비스 가용성만 확보가 된다면 보다 빠르게 무선으로의 전환이 기능할 것입니다.

 

3. 고속 무선 라우터

 세 번째는 고속의 무선 라우터에 대한 개발입니다. 현재 다양한 LTE, 5G 통신 장비가 출시되고 있지만, 회사용이나 가정용 무선 라우터가 미흡한 수준입니다. 무선 전용 모뎀이 출시가 된다면 무선 인프라 확장은 빠르게 진행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이제 유선에서 무선으로의 인프라 변경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능동적으로 이러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여 무선 인프라에 대한 도입과 적용에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